-
9,400
KODIA는 9,400명(2020년 기준)의
현장실무 전문 종사자들로 이루어진
한국을 대표하는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입니다가입단체 소개
-
(사)호남디자인산업협회
사단법인 (사)호남디자인산업협회(Honam of Korea Industy Association, 이하 HODIA)는 호남 디자인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디자인 문화를 고취하고 참단 산업, 그린 산업, 에너지 산업 및 이와 관련된 학계와 연계하여 호남지역의 디자인 인프라를 강화하고 중소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합니다. 동시에 회원사 상호간의 원활한 교류와 협동을 도모하는 단체입니다.
-
(사)대구경북디자인기업협회
대구경북디자인기업협회는 1999년 대구경북지역의 디자인산업발전을 위해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선정된 공인디자인전문회사들로 결성 되었으며 대구경북을 대표하는 각 분야의 우수한 디자인기업들이 소속된 단체입니다.
-
(사)대전디자인기업협회
대전디자인기업협회는 디자인 전문기업 규모 확대로 새로운 디자인 혁신모델을 창출하고 있으며 대전을 대표하는
-
(사)동남권디자인산업협회
사단법인 동남권디자인산업협회(South East of Korea Design Industry Association, 이하 SEDIA)는 동남권 디자인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디자인 문화를 고취하고 학계와 연계하여 디자인 인프라를 강화하고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디자인 산업계 회원사간의 원활한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는 단체입니다.
-
(사)인천디자인기업협회
(사)한국디자인기업협회 인천지회 인천디자인기업협회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정한 산업디자인전문회사 지원육성사업과 연계하여, 산업디자인 수요에 부응하고, 지적가치화 시대에 산업의 첨병역할을 수행하며, 전문회사의 경쟁력 제고를 통한 한국디자인의 선진화를 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회원사 상호간의 교류 및 협동을 통한 자질향상과 창조적 연구 활동을 통해 인천지역과 국가산업 및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산업디자인의 선진화 창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
(사)한국생활산업디자인기업협회
(사)한국생활산업디자인기업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인가된 사단법인으로 생활소비재 상품의 기획, 디자인, 생산, 유통을 전반적으로 진행하는 기업 모임입니다. 생활소비재 관련 종사자들의 플랫폼으로 거듭나는 협회를 비전으로 하여 회원사 상호간의 교류 및 협동을 통한 자질향상과 창조적 연구 활동에 의한 자주적 경제활동을 조장함으로서 국가산업 및 국민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생활산업 및 디자인산업의 고도화 창달을 위해 노력하고있습니다.
-
(사)호남디자인산업협회
-
70%
KODIA는한국디자인진흥원 선정
‘우수디자인전문회사’의 70%(2019년 기준)이상이
소속되어 있는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회원사 소개
-
바이러스 디자인
바이러스디자인은 2022-24 선도 우수디자인 전문회사로 시장/사용자 조사, 컨셉 개발, UX 디자인, 제품 디자인, 패키지 디자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그리고 제품 양산 개발 및 제조 까지를 업무 영역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품 개발의 각 단계별 전문성을 갖춘 인재들이 모여 시장 및 사용자 조사부터 제품 디자인, 양산까지 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
주식회사 타바바
모든 제품, 상품 들의 시작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외형의 디자인 뿐만아니라 일정, 기능, 시장 등의 방향성을 디자인하여 자사와 함께 협력사가 같이 성장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기업입니다.
-
스튜디오 누디
스튜디오 누디는 오래 두고 보아도 바래지 않는 아름다움을 추구합니다. 본디 있는 그대로(nude)를 표상하지만 비단 발가벗지(naked) 않음이 우리가 만드는 브랜드의 정수입니다. 한 사람의 일생이 고스란히 담긴 살결처럼 긴 시간 단단하게 쌓여갈 서비스를 만듭니다.
-
심플리
핵심에 집중하며, 모든 복잡한 요소와 개념들을 심플하게 풀어주는 디자인 스튜디오 심플리 입니다. 대기업 및 중소기업 리테일, 편의점, 마트, 온라인 외 다양한 채널에서의 트렌디한 패키지 디자인과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개발을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 기업의 정체성을 보여줄 수 있는 전략적인 디자인과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매력적인 디자인들을 개발하여 구매욕을 일으키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기업에 대한 충성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각 이미지들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주식회사이야기담
2012년 9월 가족회사인 디자인마당으로부터 분리 신설된 이야기담은 디자인에 특화된 장점을 지니고 인쇄출판사 등록을 지역에서 꾸준하게 업력을 성장시키고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인쇄출판 등록, 2018년 3월 여성기업인 등록, 2020년 5월 시각전문회사 등록, 2021년 7월 지역사회공헌의 일환인 마을잡지 출간 시작, 2022년 3월 비디오물 및 영상제작 직접생산등록, 2022년 9월 7일 법인설립전환하고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글로벌퓨처그룹
1. 20년 이상 미래 예측 트렌드 정보 개발(메가, 라이프스타일, 인테리어, 소재, 컬러 트렌드 등) 경험으로 종합적·체계적·통합적 선행디자인 개발 2. 패션·식품·건설·전자·자동차 등 다양한 소비재 상품 기획 개발 3. 낙후·소외된 지역과 약자를 위한 공공디자인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기여하고자 합니다.
-
(주)제이케이디자인
본질 + 경험(UX) + 엔지니어링 "Message, experience, true value, and meaning." We are a company that develops (beautiful) and (innovative) products while pursuing the essence of stimulating (sensitivity and emotion) and inspiring (lifestyle). 우리는 사람을 자극하는 것(감성=감정), 영감을 주는 것 (라이프스타일)의 본질을 추구하며 (아름답고),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
크리아키티브
'크리아키티브'는 새로운 형용사 입니다. '건축, 공간과 환경에 대한 새롭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솔루션으로 건축적 사고를 표현하는'이라는 뜻이 담겨있습니다. 이것은 크리아키티브가 지향하는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와의 약속이기도 합니다. 크리아키티브는 건축디자인, 공간디자인, 공공디자인, 환경디자인 등 디자인 전문기업으로서 다양한 예술적, 건축적 언어를 통해 끊임없는 대화와 소통을 통해 통합된 디자인콘셉트와 계획방향을 수립하고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 프로젝트를 완성합니다.
-
디자인휴먼
‘주식회사디자인휴먼’은 ‘Design for Human’을 디자인 철학으로 친 환경(ECO)을 위한 환경(Environment) 디자인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30년 이상의 디자이너 경력을 갖춘 디자인 전담단체장과 동해지역에서 16년 이상 Sign, 환경디자인, 조형물 디자인 시공·설치 사업을 해온 경영자가 협업하여 만든 회사입니다.
-
마노이앤아이 주식회사
전시는 상업적이든, 공공을 위한 디자인이든, 일상 속 생활에서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보편화 되고 있습니다. 이는 지금도 다양한 문화적 형태로 우리에게 깊숙이 들어오고 있으며 지역의 문화 및 경제적인 부분도 바꿔 놓고 있습니다. 마노이앤아이(주)는 이런 전시의 힘에 대한 믿음으로 지금껏 많은 형태의 전시를 연구하고 기획하며 실행해 왔습니다. 이에 필요한 것은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해하며 이를 어떻게 표현할지 항상 고민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마노이앤아이(주)는 항상 고객과 함께 웃는 마음가짐으로 프로젝트 하나하나에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시 기획을 만들어 가도록 항상 노력하고 있습니다.
-
꿈을담은틀
꿈을담은틀의 ‘Dream forest’ 디자인 — 비즈니스로 연결된 꿈의 숲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꿈의 현실화를 위한 꿈을 담은틀의 기업 네트워크 전략입니다. 하나의 아이디어가 싹을 틔워 나무가 되고, 그 나무들이 모여 숲을 이룰 수 있도록 꿈을담은틀은 각종 디자인 지원사업을 통하여 맺어진 다양한 기업들을 연계하여 기업과 기업간의 교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주식회사모두의디자인
디자인이 필요한 분들에게 진심을 담음 디자인을 제안합니다. 누구나 좋은 디자인을 누릴 권리가 있다는 신념으로 목적에 맞는 퀄리티높은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노력합니다. 영상, 디지털콘텐츠, 시각, 공간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
인터디
IT, Medical, 생황산업제품, 산업장비 등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과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수요자의 니즈를 이해하고 적극적인 제안을 통해 좋은 성과를 거우도 있습니다.
-
포켓컴퍼니
[ 주요연혁] - 2023 코엑스 포켓데이 16회차 운영 - 2023 부산대x포켓캠프 3기 운영 - 2023 무역협회 Global Startup School 3기 운영 - 2023 포스코 사내벤처 4기 운영 - 2022 부산대x포켓캠프 2기 운영 - 2022 무역협회 Global Startup School 1기 운영 - 2021 KU(건국대학교) 창업 육성지원 교수 - 2020.01 벤처인증기업 / 기업부설연구소 / 성과공유제 기업 등록 - 2018.11 (주)포켓컴퍼니 설립 - 2017 K-Start up 국방부 참모총상 'Match U(군장병 진로 가이드 플랫폼)' - 2017 공군 행정학교 1,360명 이상 진로교육, 국방부 창업동아리 회장 - 2016 포켓강의 교육서비스업 런칭 : 안드로이드, iOS 어플 자체 개발 [주요사업] - 투자유치 네트워크 공간 운영(부산대 센터, 서울대, 강남센터) - 성장기업을 위한 TIPS, 유니콘, 시리즈 투자유치 지원 - 포켓캠프, 포켓빌드업, 포켓데이, 부스터빌드업 4개의 캠페인 상설 운영
-
지오
주식회사 지오는 급변하고 있는 디자인 트랜드에 맞춰 정확한 전략과 분석으로 가장 효율적인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업의 경쟁력이 극대화 될수 있도록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랜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인 프로세스 기획을 통해 소비자 친화적인 디자인 창조의 디자인 창조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디자인 역량강화를 통해 항상 최고의 디자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주)아이비스퀘어
(주)아이비스퀘어는 브랜딩 전문회사로 고객의 특별한 가치와 경험을 이루어 드립니다. 아이비스퀘어만의 독창적인 2C2E 솔루션을 통해, 여러분의 브랜드에 특별한 가치를 만들어 드립니다. 여러분의 브랜드 가치를 누구보다 바르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비즈니스 파트너입니다.
-
디자인 사이
디자인전문회사와 기업 인하우스 디자인을 두루 경험하여 다양한 제품을 디자인할 수 있는 디자인 회사입니다.
-
주식회사 한국엘이디
(주)한국엘이디는 뛰어난 개발인력을 기반으로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지속적인 양질의 제품생산을 최고의 목표로 삼고 있으며, LED조명산업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LED 경관 조명기구를 포함하여 조명등기구 디자인을 개발, 설계 및 제조하고 있습니다. LED조명에 대한 고객의 요구에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LED조명 토탈 솔루션개발 및 원스탑시스템을 운용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주식회사 인터포
디지털 융합 서비스 디자인 전문
-
(주)리앤소프트 크리에이티브
(주)리앤소프트는 다양하고 빠르게 변하는 디지털 매체에 주목하고 대응하기 위해 경직된 기술보다는 유연한 기술을 제안합니다.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소통하며, 함께 성공을 견인하며 성장합니다. 기업 및 브랜드의 홍보와 마케팅을 위한 웹사이트 및 모바일 환경에 대응하는 웹, 앱 제작과 함께 운영이 요구되는 시스템의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합니다.
-
바이러스 디자인
-
Event
-
(사)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소개자료
사단법인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는 한국 디자인전문기업과 대표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사업기회를 발굴하여 보다 나은 기업 경영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며, 420여개의 디자인전문기업과 15,000여명의 디자이너가 활동하는 한국을 대표하는 디자인전문기업 전국연합회입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디자인전문기업 전국연합회로 8개 가입단체가 소속되어 있습니다.
(사)대구경북디자인기업협회 (채영삼 회장)
(사)대전디자인기업협회 (남승범 회장) (사)동남권디자인산업협회 (서무성 회장)(사)인천경기디자인기업협회 (김희경 회장)(사)한국생활산업디자인기업협회 (박은숙 회장)(사)호남디자인산업협회 (기성간 회장)(사)경남디자인산업협회 (김창균 회장)(사)강원디자인산업협회 (안승범 회장) 우리연합회의 소개자료를 첨부하오니,궁금하신 사항이나 연합회 가입에 대한 사항은 문의 바랍니다. (T.02-3445-2313) -
2023년 세븐어클락
2023년에는
급변하는 디자인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BIG DATA 활용, 생성형 AI(Chat GPT, 미드저니 등)와 협업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AI & New Media 사업부와 협력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실무와 경영에 도움이 되는실질적인 지식과 경험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강의와 워크숍 형태로 진행됩니다.
5월부터 8월까지 총 4회의 강의와 워크숍으로 이루어지며1회사 2명 한정으로 15명이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수강료는 4회 강의에 1인 20만원입니다.
참여 인원이 적어 선착순으로 마감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신청 및 문의 : (사)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사무국 02-3445-2313 - 강의료 송부처 : 교육컨텐츠 기획부 소선하 이사 KB국민은행 097601-04-257616
* 강의내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조하여 주십시오. -
제품디자인사업부 교류회
제품디자인사업부에서 회원사 간 정보 공유 및 협업 등을 위한 첫 교류회를 개최합니다.회원사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회원사 간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제품디자인사업부 교류회]
일자 : 매월 첫째주 목요일 (2023년 6월 1일)시간 : 오후 5시 00분 ~장소 : (주)고스디자인 회의룸 (분당)주관 : 제품디자인사업부회장 정석준 ((주)고스디자인 대표)
문의 : (사)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제품디자인사업부 정석준 부회장 (010-5311-9852) 사무국 (02-3445-2313)
-
(사)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소개자료
News
Spotlight On
-
2023년 디자인 CEO 및 디자이너를 위한 공부모임 세븐어클락 개최
우리연합회 교육컨텐츠 전략기획부에서는 세븐어클락"으로 급변하는 디자인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BIG DATA활용, 생성형 AI(Chat GPT, 미드저니 등)와 협업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AI & NEW Media 사업부와 협력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무와 경영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지식과 경험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습니다. 5월부터 8월까지 총 4회의 강의와 워크샵으로 이루어집니다. 제1강을 5월 25일 'CES2023 Deep Review 새로운 판의 변화가 시작되다' 강의를 개최하였습니다. (라이프스퀘어 최형욱 대표님) 소중한 시간을 내어주신 수강자 신청자 분들과, 장소를 제공해 주시고 계신 S2VICTOR 임직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Learn more
-
‘민관 합동 K-디자인 점프업 포럼’ 발대식
[사진] ‘민관 합동 K-디자인 점프업 포럼’ 발대식이 23일 경기도 분당 코리아디자인센터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김윤배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수석부회장, 이인기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회장, 윤상흠 한국디자인진흥원장, 김현선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회장,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오병근 한국디자인학회 오병근 회장. 우리나라 디자인산업의 미래 혁신과 세계화를 위해 민·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댄다. 기업체와 종사자 수 등 양적 규모는 커졌지만 내수시장 중심의 제한적 매출 등 질적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함이다. 디자인 디지털 전환, 제조업과의 융합,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K-디자인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는 23일 경기도 분당 코리아디자인센터에서 ‘민관 합동 K-디자인 점프업 포럼’ 발대식을 개최했다. 발대식에는 디자인 분야 각계 전문가 50여명이 참석했다. 포럼 위원장은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과 김현선 디자인단체총연합회 회장이 공동으로 맡는다. 정책 분야별 세부 아젠다를 논의할 각 분과는 △오병근 디자인학회 회장(디자인 기업·인력 분과) △이인기 디자인산업연합회 회장(디자인-산업 융합 분과) △김윤배 디자인단체총연합회 수석부회장(디자인 해외진출 분과)이 분과위원장을 담당한다. 디지털·지속가능 디자인 분과 위원장은 김현선 회장이 겸직한다. 26개 디자인 협·단체 회장단이 분과위원으로 활동한다. 주영준 실장은 발대식 격려사를 통해 “창의성과 유연성을 지닌 디자인은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를 요소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신기술은 핵심 역량이지만 기술을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로 탈바꿈시키는 디자인 역량은 어느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K-디자인 혁신전략을 수립하고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며 “K-디자인 점프업 포럼의 출범은 그 첫 단추로 강력한 민·관 파트너십을 통해 다양한 정책 아이디어가 제시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날 산업부는 ‘디자인 정책방향 소개’ 발표를 통해 국내 디자인 산업의 실태를 돌아보는 한편 혁신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산업부는 정체된 디자인 업계의 매출과 3.69%에 불과한 수출기업 비중을 문제로 지적하며 디자인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지속가능 디자인 적용, 다른 산업과의 융합, 해외판로 개척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디자인 라이브러리 구축과 디자인 프로세스 전주기 지원 인공지능(AI) 플랫폼 구축, 장비 및 소프트웨어(SW) 지원·교육, 불공정거래 방지, 기술·디자인 융합 히트상품 기획, 미국·중국·아시아 3대 전략지역 민·관협력 거점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첫발을 내딘 포럼은 디자인 업계 시각에서 산업현장 당면 과제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정책 제언에 나설 계획이다. K-디자인 미래 혁신전략 수립의 실질적인 구심점 역할을 하는 셈이다. 분과별 집중 논의를 통해 발굴된 정책과제는 오는 11월 ‘디자인코리아 2023’에서 발표 예정이다. 김현선 회장은 “미래 시장선도를 위해 AI 디자인, 지속가능 디자인 전환에 디자인 협단체가 힘을 모으겠다”면서 “더불어 정부의 K-디자인 해외 진출에 적극적인 지원과 디자이너의 날 재정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출처 : 전자신문 조정형기자 (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3101714?lfrom=kakao)
Learn more
-
2023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전국 가입단체장 협의회 개최
5월 19일(금)에 대전에서 (사)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제1차 전국가입단체장협의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지역 디자인균형 발전을 위해 여러가지 의견을 나누는 자리였습니다. 논의내용 -정부의 지역 디자인산업정책의 변화 요구 -한국디자인진흥원과 지역 디자인계 소통방안 및 일정 조율 -수출바우처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가입단체의 대응방안 -전국가입단체 및 디자인계의 이슈화를 위한 언론 활용 -전국가입단체장 & 코디아 부회장단 워크샵 개최등 소중한 시간을 내어주신 가입단체장님들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Learn more
-
[CEO인터뷰] 이인기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장 “중소 디자인 기업 해외 진출 돕겠다”
이인기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장은 뉴스투데이와의 대담에서 국내 중소 디자인 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사진=김영주] 30년 업력의 이인기 디자인소호 대표, 14대 연합회장 선출 코로나19 여파 극복·해외 진출 지원·처우 개선 필요 역설 한국 디자인 위상 세계적이지만 대기업 주도라는 한계점 ‘디자인 강국’ 발돋움 위해 ‘스타 디자이너’ 양성해야 40년간 8000자루 수집…연필박물관 찾는 아이들 보면 뿌듯 [뉴스투데이=이화연 기자] 신형 스마트폰의 외관, 스마트폰 화면을 터치하면 나오는 잠금화면, 스마트폰으로 오픈한 앱의 첫 화면, 어쩌면 지금 당신이 보고 있는 이 기사 레이아웃까지...디자인은 우리 생활 곳곳에 녹아들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도 수많은 디자이너들이 멀티미디어, 시각, 패키지 등 각 분야 최고 창작물을 탄생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이하 연합회)는 한국 디자인 산업의 선진화와 업계 네트워크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1994년 출범했다. 연합회는 디자이너 권익에도 힘쓰고 있다. 13일 뉴스투데이와 만난 이인기 연합회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극복과 중소 디자인 업계의 글로벌화를 강조했다. 이 연합회장은 국내 디자인 산업에 대해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에 올라와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스타 디자이너’가 여럿 탄생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편집 디자인 전문회사 ‘디자인소호’를 30년 간 운영해 온 관록있는 디자이너이자 유명한 ‘연필 수집광’인 이 연합회장의 가치관을 들어봤다. Q : 연합회장 2년 임기 동안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있나. 연합회는 대전, 대구, 호남, 부산, 창원, 강원 등 전국에 6개 지회를 두고 있다. 디자인 회사 대표들과 중소기업 디자인 회사가 함께 어우러져 만든 연합회다. 미래 산업의 가치는 결국 디자인이다. 중소 디자인 업계가 코로나19 환경 이후 많이 어려운데 제자리로 발돋움하는 것이 목표 중 하나다. 현재 국내에서 활동하는 기업이 많은데 이들의 해외 진출 활성화까지 고민할 예정이다. 제일 중요한 것은 회원사 간 협업이다. 멀티미디어와 시각, 제품 등 디자인 분야가 다른 회원사끼리 서로 협력하거나 세계 무대에 진출하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또 일반 기업에 비해 중소 디자인 기업에 불합리한 부분이 많은데 새롭게 환경을 바꾸려고 노력하고자 한다. Q : 앞서 언급한대로 코로나19로 타격이 컸을 것 같다. 이밖에 회원사들로부터 청취한 애로사항이 있다면. 지난 3년 간 코로나19 환경에서 디자인 분야 활동이 많이 위축됐다. 시각 디자인은 해외 행사가 없어져 브로셔를 제작하지 않게 됐고 잡지 발행도 축소됐다. 뉴미디어나 멀티미디어는 비대면이어서 상대적으로 활성화됐다고 하는데 그래도 사업이 위축되다 보니 일이 많지 않다. 제품 디자인도 신제품 개발이 위축돼 악영향이 있었다. 직원이 줄어든 회사들도 많다. 몇 곳의 특별한 회사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예전보다 좋지 않은 상황이다. Q : 연합회 차원에서 정부와 소통하는 부분이 있는지. 국가적으로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디자인이 중요하다는 말을 항상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디자이너와 디자인 전문회사에 대한 예우, 디자인 중요성에 걸맞는 보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같은 부분을 정부에 요청해야 한다. 지자체는 디자인 관련 부서를 만들고 그 부서를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를 넓히는 부분은 제가 해야 할 영역이다. Q : 디자이너 처우는 인재 양성 측면에서도 중요할 것 같다. 산업이 활성화되려면 인재에 대한 미래 전략이 제일 중요하다. 대학에서 매년 약 3만명 가까운 디자이너가 배출된다. 그러나 이 3만명이 모두 디자인 산업계로 가는 것은 아니다. 그만큼 업황이 열악하다. 인재 양성 방향과 전략적인 부분은 우리가 고민해야 할 숙제이지만 특히 디자인 산업의 처우는 좋아야 한다. 처우를 개선하려면 양질의 업무가 주어져야 하고 대기업은 중소기업에 충분한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그런 부분들에 노력을 기울이면 인재들이 다시 산업계로 몰려오는 현상이 생길 것으로 본다. Q : 연합회 차원에서 진행하는 ‘잇 어워드’는 어떤 행사인지. 연합회는 전국을 아우르는 협회이다보니 회원 가입 수가 상당히 많다. 우리는 인재양성의 하나로 내부적으로 잇 어워드를 개최하고 있다. 잇 어워드는 산업계에 있는 디자인 기업인들이 직접 심사해 ‘최우수상’을 선발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전까지 국내를 대상으로 했지만 지난해 행사부터 해외까지 아우르는 ‘글로벌 잇 어워드’로 확대됐다. Q : 추후 잇 어워드가 레드닷, iF 어워드, IDEA 등 3대 디자인 시상식처럼 권위있는 대회로 성장할 수 있을까. 오래전부터 구축돼 있는 어워드와 겨루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겠지만 잇 어워드는 기업인이 심사하는 등 장점이 있어 글로벌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Q : 해외 3대 시상식에서 국내 기업 수상 소식이 해마다 들려오고 있다. K-디자인의 글로벌 위상은 어느 수준이고 패권을 잡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국내 디자인 산업은 이미 굉장한 수준에 와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이 부상하고 있고 동남아 회사들도 강력하게 우리의 뒤를 쫓고 있는 게 현실이다. 다만 해외 수상과 국내 디자인 산업은 양면성이 있다. 우리는 대기업 위주의 수상이 많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상 실적이 디자인업계 수준을 높여주고 있지만 외국처럼 개인 수상은 아직 많이 미흡한 편이다. Q : 디자이너 개개인을 양성·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이 있나. 대기업에 의한 디자인 주도도 있지만 스타 디자이너가 많이 나와야 우리가 명실상부한 디자인 강국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스타 디자이너를 만드는 일에 정부도 나서고 있고 우리 연합회도 같이 협력하는 편이다. Q :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과거 디자인은 예쁘게 보이는 게 중요했다면 지금은 보여지기 위함보다 잘 정리된 디자인이 미니멀하게 올 때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꼽힌다. 다만 분야에 따라 장점이 있는 디자인은 다르기 때문에 좋은 디자인이 무엇이다라는 정의는 없다. Q : 본인 주요 종목인 편집 디자인으로 한정해서 본다면. 편집 분야를 오프라인 측면에서 보면 타이포그래피(활자의 서체나 글자 배치 따위를 구성하고 표현하는 일), 사진이나 일러스트레이션 양과 질에 따라 퀄리티가 달라진다. 지금은 편집이 온라인 미디어 안으로 들어왔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PC 첫 화면 인터페이스들이 모두 편집 디자인 영역이라고 본다. 이에 따라 독자의 가독성이나 레이아웃의 참신성, 유저 인터페이스를 고려한 디자인을 ‘좋은 디자인’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Q : 디자인은 특히 트렌드에 민감한 산업이다. 영감을 얻는 노하우를 알려달라. 많은 이들이 물어보는 질문이다. 크게 보면 ‘시각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는데 눈으로 보는 훈련, 책을 보고 공부하는 것, 충분히 많은 것들을 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공부다. 저는 여행을 많이 다니면서 더 색다른 것을 보고 그런 것들을 디자인에 접목해왔다. 지금은 그런 것들이 누적되면서 디자인 감각이 단단하게 배어들었고 그것들을 녹여가면서 일을 하고 있다. Q : 이번엔 새로운 얘기를 해보자. 강원도 동해시에 있는 연필박물관에 전시된 연필이 이 연합회장 소장품이라고 들었다. 지난 40년 동안 연필을 8000자루 정도 모았다. 여행을 하며 모으기도 하고 선물 받은 것도 많다. 온라인에서 빈티지 연필도 구매했다. 이렇게 수집한 연필로 2021년에 강원도 동해시 묵호에 연필박물관을 지었다. 연필박물관은 국내 첫 사례이며 전 세계적으로 보면 영국에 이어 두 번째다. 박물관이 약 200평인데 가진 연필의 3분의 1 정도인 2500자루가 전시돼 있다. 나머지는 수장고에 있는데 계절별, 시기별로 변화를 주면서 관객들한테 보여줄 예정이다. 특히 뿌듯한 부분은 어린 아이를 둔 가족들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아인슈타인처럼 유명한 사람들의 어린 시절을 보면 직업관은 엉뚱한 영감에서 오더라. 아이들이 연필을 보면서 새로운 세계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본다. Q : 연필에 특별한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있었나. 외국은 아직도 연필을 많이 쓴다. 우리나라는 디지털화가 잘 돼서인지 몰라도 연필을 소홀히 하고 있다. 디자이너로서 그런 부분에서 오는 반감 작용도 있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작은 연필에서 각기 다른 디자인이 나온다는 부분이 ‘연필 수집광’으로 만든 요소가 됐다. Q : 끝으로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디자인산업연합회는 국내 디자인 기업 1000여곳이 모인 영향력이 큰 연합회다. 한국의 디자인 산업 활성화 차원에서 연합회에 많은 관심 부탁드리며 연합회가 진행하는 여러 활동에 귀를 기울여 주셨으면 하는 바람이다. 출처 : 뉴스투데이(news 2 day) 이화연기자 https://m.news2day.co.kr/article/20230413500153
Learn more
-
2023 디자인 분쟁예방 설명회 개최
(사)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 부설기관인 <디자인기업피해지원센터>에서는 디자인기업과 디자인활용기업 간 일어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 <2023 디자인 분쟁예방 대면 설명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참여해 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 행사명 : 2023 디자인 분쟁예방 설명회 ■ 개최일시 : 2023. 3. 30.(목) 14시 ~ 17시 (3h) ■ 개최장소 :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C-hall ■ 행사내용 · 비즈니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쟁 및 권리침해에 대한 대응방법 교육(사전예방법 포함) · 디자인기업 뿐만 아니라, 디자인기업의 거래 상대방인 활용기업(스타트업 기업 포함)을 참가하게 하여 비즈니스에 관련된 양자 간 피해발생을 사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하고자 함. · 참석인이 실제 겪고 있는 다양한 분쟁사례의 대응방안에 대하여 사례분석 형식의 정보 공유 · 디자인 출원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 디자인 종사자들을 위한 설명자료 공유 디자인기업(디자이너 포함) 및 디자인활용기업(스타트업기업 포함) 중 법률대응 지식(불공정거래)이 필요신 분, 디자인 분쟁 해소에 관심 있는 분 또는 기업체 관계자등 분쟁이 있을 시 활용 부탁드립니다. 디자인 기업의 권익보호와 피해예방에 앞장서겠습니다. http://www.designsos.co.kr/ 디자인기업 피해지원센터 ☎1577-4964
Learn more
-
KODIA 2023년 제1차 정기이사회 개최
(사)한국디자인산업회는 2023년 제1차 정기 이사회를 2023년 3월 24일 서울스퀘어 3층 대회의실에서 개최하였습니다. 약 30여명의 이사회 임원이 참석하여 진행된 이번 이사회는 제14대 이인기 연합회장 출범 첫 이사회로서 강원디자인산업협회가 새로이 가입되어, 전국 총 8개 지역 단체 네트워크를 갖춘 명실 상부한 전국 단위의 연합회로서의 입지를 굳혔습니다. 연합회는 올해(2023년), 7개의 디자인사업부, 7개의 전략기획부, 4개의 위원회의 조직으로 구성하고 각 부서 및 가입단체별 추진 방향과 전략을 공유하여 아래 4대 핵심과제를 추진하기로 협의하였습니다. <4대 핵심과제> 1. 연합회의 위상 확보 2. 디자인전문기업의 권익 발굴/보호 3. 회원사의 실질적 이익에 기여 4. 하나되는 연합회 또한 이인기 연합회장은 디자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및 교육/ 포럼 등을 강화하고 글로벌 디자인 잇어워드의 활성화, 회원사의 권익 보호 및 회원사의 실질적인 기업 운영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안건> 1. 신규회원사 승인의 건(15개사) : 승인완료 2. 강원디자인산업협회 단체가입 가 승인의 건 : 승인완료 <제14대 1기 이사회 임원 선임> ○ 감사 : 이장우 (디자인선 대표) ○ 가입단체운영본부장 /부회장 : 이재준 (아이엔지디자인 대표) ○ 전략기획부 -신사업/마케팅 부회장 : 임미정 (㈜유니디자인경영연구소 대표이사) -제도/정책 부회장 : 안진호 (㈜아이디이노랩 대표이사) -대외협력 부회장 : 김철현 (㈜흐름코퍼레이션 대표이사) -대외홍보 부회장 : 황혜영 (㈜산타클로스윙크 대표이사) -교육컨텐츠 부회장 : 이경미 (㈜사이픽스 대표이사) -해외진출 부회장 : 진 철 (㈜제이디자인웍스 대표이사) -미래융합 / 트렌드 부회장 : 손정민 (GLOBAL FUTURE GROUP 대표) ○ 디자인 사업부 -제품디자인 부회장 : 정석준 (㈜고스디자인 대표이사) -시각/정보디자인 부회장 : 이순미 (브랜드에이드어소시에이츠 대표) -Al & New Media (구.디지털/미디어컨텐츠) 디자인 부회장 : 김묘영 (바이스 버사 디자인 스튜디오 대표) -공간환경 디자인 부회장 : 허선 (㈜어반아크 건축사사무소 대표소장) -패키지디자인 부회장 : 조광미 (JKM디자인㈜ 대표이사) -서비스디자인 부회장 : 김희정 (㈜이언커뮤니케이션 대표이사) -융합디자인 부회장 : 이승엽 (㈜리앤소프트 대표이사) ○ 글로벌디자인잇어워드사업부 -기획 부회장(겸직) : 정석준 (㈜고스디자인 대표이사) -글로벌 홍보/마케팅 부회장 : 최진욱 (㈜카이엔어소시에이츠 대표이사) ○ 가입단체회장은 당연직 임원임 -(사)경남디자인산업협회장 : 김창균 (에프엠디자인 대표) -(사)대구경북디자인기업협회장 : 채영삼 (㈜케이.피.디 대표이사) -(사)대전디자인기업협회장 : 남승범 (플레어 대표) -(사)동남권디자인산업협회장 : 서무성 (㈜디자인부산 대표이사) -(사)인천경기디자인기업협회장 : 김희경 (㈜디엠비코리아 부사장) -(사)호남디자인산업협회장 : 기성간 (㈜페이스그래픽 대표이사) -(사)한국생활산업디자인기업협회장 : 박은숙 (㈜시스템주얼리연구소 대표이사) -강원디자인산업협회장 : 안상범 (마노이앤아이㈜ 경영이사) 바쁘신 와중에도 소중한 시간을 내어주신 임원진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회원사에서도 우리연합회의 많은 관심 부탁드리며, 우리 연합회에 주실 의견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사무국으로 연락주십시요. 감사합니다.
Learn more